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코로나 신규확진 1,725명…네자릿수 확진자 29일째

2021-08-04 1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코로나 신규확진 1,725명…네자릿수 확진자 29일째<br /><br /><br />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어제 1,725명 발생해 하루 만에 1,700명대까지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전국 일상 공간에서 감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, 델타 변이바이러스와 돌파감염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8일 현행 거리두기 종료를 앞두고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모레쯤 조정안을 확정할 방침인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오늘 오전 9시 반에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1,725명으로 주말 효과가 사라지면서, 다시 1,700명대로 늘었습니다. 방역 강화에도 좀처럼 확진자가 줄지 않고 있는데요. 현재 코로나19 상황,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가 4주째 이어지고 있지만, 추가 연장 가능성이 나오고 있습니다. 국민 10명 중 8명은 4단계 연장에 찬성한다는 설문조사도 있었는데요. 4차 대유행이 한 달 정도 지났는데, 확산세가 잡히기까지 얼마나 더 시간이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어제 이 시간에 잠시 전해드렸습니다만, 국내에서 델타 플러스 변이 바이러스가 처음 확인돼 새로운 변수로 부상했습니다. 일단 델타 변이와 델타 플러스 변이 뭐가 다릅니까?<br /><br /> 2명 중 한 명은 미국 여행에서 돌아온 뒤 확진된 해외유입 사례이고, 나머지 한 명은 해외 여행력이 없습니다. 특히 두 사람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2회까지 맞고 2주가 지난 접종 완료자로 돌파감염에 해당합니다. 백신 효과가 없었던 건가요?<br /><br /> 해외 여행력이 없는 40대 델타 플러스 감염 사례에선, 가족과 직장동료 등 접촉자들 중에서 현재까지 동거가족 1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요. 이 동거가족도 델타 플러스 변이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겠죠? 그렇다면,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델타 변이가 이미 국내에서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은 가운데, 신규 변이의 91.5%가 델타변이로 확인됐죠? 수도권 델타 변이 검출률은 일주일 새 48.2%에서 62.9%까지 10%포인트 넘게 높아졌습니다. 확산세가 잡히지 않는 게 델타 변이 때문으로 봐야 합니까?<br /><br />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서 기승을 부리면서 돌파 감염사례도 급증하고 있는데요. 국내도 예외가 아닙니다. 요양병원과 시설에서 돌파감염 사례가 2건 발생했고, 화이자 백신을 맞은 80대 여성이 사망한 사례도 나왔습니다. 돌파감염이 늘어나는 이유, 뭐라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백신을 맞아도 돌파감염이 늘어나면서, 백신을 꼭 맞아야 하나 생각하는 분도 계실 거 같은데 그런데, 이 돌파감염에도 꼭 백신을 맞아야 하는 이유를 폐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고요?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돌파감염이 발생한 사례를 백신별로 분석해 보면 얀센이 584명으로 가장 많고, 화이자 284명, 아스트라제네카 254명, 교차접종 10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 얀센 접종자에서 돌파감염이 가장 많은 건 1회 접종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전 세계적으로 돌파감염이 급증하자 선진국들은 추가 접종, 부스터샷 도입에 속도를 높이고 있는데요. 아직 저소득 국가 인구의 85%가 백신을 한 번도 맞지 못한 상황이예요. 부스터샷 도입이 본격화하면, 전 세계에서 백신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을텐데요. 국내 상황은 어떻게 보십니까? 백신 제조 공장이 있는데, 수급에 도움이 될까요?<br /><br /> 최근 40~50대 장년층 확진자 중에서 위중증으로 병세가 악화하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. 델타 변이와 관련이 있습니까?<br /><br /> 현재 만 18세에서 49게 우선접종 대상자의 사전 예약이 진행되고 있는데요. 어제 수도권 대상자들에 이어 오늘 비수도권 자율접종 대상자들이 예약을 시작합니다. 지방자치단체 자율접종이 전국 확진자를 줄이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거라 보시나요?<br /><br /> 정부가 어제 얀센 백신 접종 대상자를 발표했는데요. 50대 이상과 2회 접종하기 어려운 30대 이상 대상자에게 접종하기로 했습니다. 얀센 백신의 접종 가능한 연령이 바뀐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 정부는 다음 달 추석 연휴 전까지 우리 국민의 70%인 3,600만 명이 백신 1차 접종을 마치도록 할 계획입니다. 현재 국민의 39%인 2천만여명이 1차 접종을 마친 상태인데요. 1차 접종자가 전 국민 70%에 도달하면 유럽처럼 거리두기 완화가 가능해질까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교차 접종과 관련해 질문 하나 더 드리면, 일단 1차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2차 화이자 접종이 가능한데요. 예방효과가 더 좋다고 알려져 있잖아요. 반대로 1차 화이자나 모더나를 접종한 사람이 2차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가능한지, 또 효과는 어떤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였습니다.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